PostgreSQL 9.6.2 문서 | |||
---|---|---|---|
이전 | 위로 | 장 19. 서버 환경 설정 | 다음 |
앞에서 언급한 postgresql.conf 파일 외에도 PostgreSQL는 수동으로 편집되는 다른 환경 설정 파일 2개를 사용하는데, 이 파일은 클라이언트 인증을 관리하는 파일이다(이 파일의 사용은 20장에서 다룬다). 기본적으로 3개의 환경 설정 파일 모두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데이터 디렉터리에 저장된다. 이 절에서 설명하는 매개변수는 환경 설정 파일을 다른 곳에 배치할 수 있다(그렇게 하면 관리가 편하다. 특히, 환경 설정 파일이 별도로 관리되는 경우에는 환경 설정 파일을 백업하기가 훨씬 쉽다.).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되는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이 매개변수는 서버 시작 시에만 설정 가능하다.
메인 서버 환경 설정 파일(통상적으로 postgresql.conf라고 함)을 지정한다. 이 매개변수는 postgres 커맨드 라인에서만 설정 가능하다.
호스트 기반 인증(통상적으로 pg_hba.conf라고 함)용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한다. 이 매개변수는 서버 시작 시에만 설정 가능하다.
20.2절 사용자 이름 매핑(통상적으로 pg_ident.conf라고 함)용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한다. 이 매개변수는 서버 시작 시에만 설정 가능하다.
서버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서버가 생성해야 하는 추가 프로세스 ID(PID) 파일의 이름을 정한다. 이 매개변수는 서버 시작 시에만 설정 가능하다.
기본 설치에서, 위의 것들 중 명시적으로 설정되는 매개변수는 없다. 대신, 데이터 디렉터리가 -D 커맨드 라인 옵션 또는 PGDATA 환경 변수로 지정되고, 모든 환경 설정 파일은 데이터 디렉터리에 위치한다.
데이터 디렉터리가 아닌 다른 곳에 환경 설정 파일을 저장하고 싶으면 postgres -D 커맨드 라인 옵션 또는 PGDATA 환경 변수가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곳의 위치를 가리켜야 하고, 데이터 디렉터리가 실제로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data_directory 매개변수는 postgresql.conf(또는 커맨드 라인에서)에 설정되어야 한다. data_directory는 환경 설정 파일의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디렉터리의 위치에 대해 -D 및 PGDATA를 오버라이드한다. files.
config_file, hba_file 및/또는 ident_file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환경 설정 파일의 이름과 위치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config_file은 postgres 커맨드 라인에서만 지정 가능하고, 기타 파일은 메인 환경 설정 파일 내에 설정할 수 있다. 이 3가지 매개변수와 data_directory가 명시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D와 PGDATA를 지정할 필요 없다.
이 3가지 매개변수는 설정 시 postgres가 시작된 디렉터리의 상대 경로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