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서버 관리

여기서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관심있는 사항을 다룬다. 소프트웨어 설치, 서버 구축 및 설정,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유지 보수 작업이 포함된다. PostgreSQL 서버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특히 업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기에서 다루는 사항을 잘 알고 있어야한다.

각 내용의 순서는 새 사용자가 차례대로 읽어가면 좋을 순서로 정렬되었다. 하지만, 각 장들은 독립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읽어도 된다.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각 부분별로 개별적으로 한정 되어 이야기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개별 명령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VI 부에서 다룬다.

앞부분 몇 장은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작성되어, 서버를 처음 꾸리는 사용자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서버 튜닝과 관리에 대한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사용법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I 부II 부에서 추가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차례
15. Installation from Source Code
15.1. Short Version
15.2. Requirements
15.3. Getting The Source
15.4. Installation Procedure
15.5. Post-Installation Setup
15.6. Supported Platforms
15.7. Platform-specific Notes
16. Installation from Source Code on Windows
16.1. Building with Visual C++ or the Microsoft Windows SDK
16.2. Building libpq with Visual C++ or Borland C++
17. Server Setup and Operation
17.1. The PostgreSQL User Account
17.2. Creating a Database Cluster
17.3. Starting the Database Server
17.4. Managing Kernel Resources
17.5. Shutting Down the Server
17.6. Upgrading a PostgreSQL Cluster
17.7. Preventing Server Spoofing
17.8. Encryption Options
17.9. Secure TCP/IP Connections with SSL
17.10. Secure TCP/IP Connections with SSH Tunnels
17.11. Registering Event Log on Windows
18. Server Configuration
18.1. Setting Parameters
18.2. File Locations
18.3. Connections and Authentication
18.4. Resource Consumption
18.5. Write Ahead Log
18.6. Replication
18.7. Query Planning
18.8. Error Reporting and Logging
18.9. Run-time Statistics
18.10. Automatic Vacuuming
18.11. Client Connection Defaults
18.12. Lock Management
18.13. Version and Platform Compatibility
18.14. Error Handling
18.15. Preset Options
18.16. Customized Options
18.17. Developer Options
18.18. Short Options
19. Client Authentication
19.1. The pg_hba.conf File
19.2. User Name Maps
19.3. Authentication Methods
19.4. Authentication Problems
20. Database Roles
20.1. Database Roles
20.2. Role Attributes
20.3. Role Membership
20.4. Function and Trigger Security
21. Managing Databases
21.1. Overview
21.2. Creating a Database
21.3. Template Databases
21.4. Database Configuration
21.5. Destroying a Database
21.6. Tablespaces
22. Localization
22.1. Locale Support
22.2. Collation Support
22.3. Character Set Support
23. Routine Database Maintenance Tasks
23.1. Routine Vacuuming
23.2. Routine Reindexing
23.3. Log File Maintenance
24. 백업과 복원
24.1. SQL 덤프
24.2. 파일 시스템 기반 백업
24.3. 아카이브 모드 백업(Continuous Archiving)과, 특정시점 복구(Point-in-Time Recovery, PITR)
25. 고가용성, 부하 분산, 복제
25.1. 여러 해결 기법 비교
25.2. 로그 전달 Log-Shipping 대기 서버
25.3. 장애처리 failover
25.4. 로그 전달 복제에 대한 다른 방법
25.5. Hot Standby
26. 복구 환경설정
26.1. 아카이브 복구 설정
26.2. 복구 시점 설정
26.3. 대기 서버 설정
27. 데이터베이스 성능 모니터링
27.1. 표준 유닉스 도구들
27.2. 통계 수집기
27.3. Viewing Locks
27.4. Dynamic Tracing
28. Monitoring Disk Usage
28.1. Determining Disk Usage
28.2. Disk Full Failure
29. Reliability and the Write-Ahead Log
29.1. Reliability
29.2. Write-Ahead Logging (WAL)
29.3. Asynchronous Commit
29.4. WAL Configuration
29.5. WAL Internals
30. Regression Tests
30.1. Running the Tests
30.2. Test Evaluation
30.3. Variant Comparison Files
30.4. Test Coverage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