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서버 관리

여기서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관심있는 사항을 다룬다. 소프트웨어 설치, 서버 구축 및 설정,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유지 보수 작업이 포함된다. PostgreSQL 서버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특히 업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기에서 다루는 사항을 잘 알고 있어야한다.

각 내용의 순서는 새 사용자가 차례대로 읽어가면 좋을 순서로 정렬되었다. 하지만, 각 장들은 독립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읽어도 된다. 여기서 다루는 내용은 각 부분별로 개별적으로 한정 되어 이야기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개별 명령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VI 부에서 다룬다.

앞부분 몇 장은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작성되어, 서버를 처음 꾸리는 사용자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서버 튜닝과 관리에 대한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사용법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했다. I 부II 부에서 추가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차례
16. Installation from Source Code
16.1. Short Version
16.2. Requirements
16.3. Getting The Source
16.4. Installation Procedure
16.5. Post-Installation Setup
16.6. Supported Platforms
16.7. Platform-specific Notes
17. Installation from Source Code on Windows
17.1. Building with Visual C++ or the Microsoft Windows SDK
17.2. Building libpq with Visual C++ or Borland C++
18. 서버 설정 및 운용
18.1. PostgreSQL 사용자 계정
18.2.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생성
18.3.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작
18.4. 커널 리소스 관리
18.5. 서버 셧다운
18.6. PostgreSQL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18.7. 서버 스푸핑 방지
18.8. 암호화 옵션
18.9. SSL을 사용한 TCP/IP 연결 보호
18.10. SSH 터널을 사용하여 TCP/IP 연결 보호
18.11. Windows이벤트 로그 등록
19. 서버 환경 설정
19.1. 매개변수 설정
19.2. 파일 위치
19.3. 연결 및 인증
19.4. 리소스 소비
19.5. Write Ahead 로그
19.6. 복제
19.7. 쿼리 플랜
19.8. 에러 리포팅 및 로깅
19.9. 실시간 통계
19.10. 자동 Vacuuming
19.11. 클라이언트 연결 기본값
19.12. 잠금(lock) 관리
19.13. 버전 및 플랫폼 호환성
19.14. 에러 처리
19.15. 프리셋 옵션
19.16. 커스텀 옵션
19.17. 개발자 옵션
19.18. 단축 옵션
20. 클라이언트 인증
20.1. The pg_hba.conf 파일
20.2. 사용자 이름 맵
20.3. 인증 방법
20.4. 인증 문제
21. 데이터베이스 role
21.1. 데이터베이스 role
21.2. role 속성
21.3. role 멤버십
21.4. Dropping Roles
21.5. Default Roles
21.6. 함수 및 트리거 보안
22. 데이터베이스 관리
22.1. 개요
22.2. 데이터베이스 생성
22.3.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22.4. 데이터베이스 환경 설정
22.5. 데이터베이스 소멸
22.6. Tablespaces
23. 로컬라이제이션
23.1. 로케일(Locale) 지원
23.2. 콜레이션 지원
23.3. 문자 집합 지원
24. 정기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작업들
24.1. 정기적인 Vacuum 작업
24.2. 정기적인 인덱스 다시 만들기
24.3. 로그 파일 관리
25. 백업과 복원
25.1. SQL 덤프
25.2. 파일 시스템 기반 백업
25.3. 아카이브 모드 백업(Continuous Archiving)과, 특정시점 복구(Point-in-Time Recovery, PITR)
26. 고가용성, 부하 분산, 복제
26.1. 여러 해결 기법 비교
26.2. 로그 전달 Log-Shipping 대기 서버
26.3. 장애처리 failover
26.4. 로그 전달 복제에 대한 다른 방법
26.5. 상시 대기
27. 복구 환경설정
27.1. 아카이브 복구 설정
27.2. 복구 시점 설정
27.3. 대기 서버 설정
28. 데이터베이스 성능 모니터링
28.1. 표준 유닉스 도구들
28.2. 통계 수집기
28.3. 잠금 보기
28.4. 진행 상태 보고
28.5. Dynamic Tracing
29. 디스크 사용량 모니터링
29.1. 디스크 사용량 결정
29.2. 디스크 꽉 참(Full) 실패
30. 안정성 및 Write-Ahead 로그
30.1. 안정성
30.2. Write-Ahead 로깅(WAL)
30.3. 비동기 커밋
30.4. WAL 환경 설정
30.5. WAL 인터널
31. Regression Tests
31.1. Running the Tests
31.2. Test Evaluation
31.3. Variant Comparison Files
31.4. TAP Tests
31.5. Test Coverage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