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이라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캘리포니아의 버클리 대학교에서 POSTGRES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발 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20년 넘게 개발되어, PostgreSQL은 이제 어느 곳에서나 사용될 수 있는 가장 나은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로 인정받고 있다.
POSTGRES 프로젝트는 마이클 스턴브래커 교수가 이끌었으며, 미국 국방성 고등연구 계획국(DARPA), 육군 연구소(ARO), 국립 과학 재단(NSF), ESL 주식회사의 후원을 받아서 진행되었다. POSTGRES 프로젝트는 1986년에 시작되었다. 그 시스템의 기초 개념은 [ston86] 문서를 따랐으며, 기초 자료 구조의 정의는 [rowe87] 문서를 기반으로 했다. 그 당시 rule에 대한 설계는 [ston87a] 문서에서 기술하고 있다. 자료 저장 관리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구조설계에 대한 것은 [ston87b] 문서에서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POSTGRES는 여러번의 공식 배포본을 내어놓으며 발전해 갔다. 첫번째 “데모웨어” 시스템은 1987년에 작동되었으며, 1988년 ACM-SIGMOD 회견에서 시현되었다. [ston90a] 문서에서 언급한 버전 1 시스템은 1989년 6월에 몇몇 외부관계자들에게 배포되었다. [ston89] 문서에서 언급한 첫번째 rule 시스템의 비판적인 반응을 수용하여, rule 시스템이 다시 설계 되었으며([ston90b] 문서 참조), 버전 2에서 새로운 rule 시스템을 도입해서, 1990년 6월에 발표되었다. 이어, 1991년에 버전 3에서 다중 저장 관리자, 향상된 쿼리 실행기, 재작성된 rule 시스템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Postgres95 (아래 참조) 발표 이전의 대부분 버전들은 이식성과, 신뢰성에 촛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POSTGRES는 다양한 조사 작업과, 응용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었다. 금융 자료 분석 시스템, 제트 엔진 성능 검사 패키지, 소행성 추적 데이터베이스,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여러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또한 POSTGRES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육용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마침내, Illustra Information Technologies(뒷날 Informix - 현재, IBM에서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 에 합병됨)에서 코드가 사용되고, 상업화 되었다. 그뒤, 1992년에 Sequoia 2000 scientific computing project에서 기본 자료 관리자로 사용되었다.
1993년에 와서는 외부 사용자층이 거의 두배 가까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코드 원형을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 조사에 할애할 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결국 이런 지원 작업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버클리 POSTGRES 프로젝트는 버전 4.2에서 공식적으로 마감되었다.
1994년에 앤드류 유와, 졸리 첸이 POSTGRES 에 SQL 언어 인터프리터를 추가했다. 그리고는 Postgres95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원본 POSTGRES 버클리 코드의 오픈 소스 정책을 이어 받아, 웹을 통해서 발표했다.
Postgres95 코드는 ANSI C 호환성으로 작성되었으며, 코드 분량은 25%정도 줄였다. 내부적인 개선작업으로 성능이 향상 되었으며, 유지 보수가 쉬워졌다. 위스콘신 벤치마크에 따르면, Postgres95 1.0.x 배포판은 POSTGRES 버전 4.2보다 약 30–50% 빠른 속도로 작동했다고 한다. 버그 수정에 대한 것은 제외하고, 아래와 같은 굵직한 성능향상을 기했다:
서버측에서 구현되었던, PostQUEL이라는 쿼리 언어를
SQL로 바꾸었다. (훗날,
PostQUEL 쪽은 libpq 라는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로 명명되었다.)
서브쿼리는 PostgreSQL
에서 지원되기 시작했지만, Postgres95에서도
사용자 정의 SQL 함수를 만들어서 그것을 구현 할 수도 있었다.
집계 함수들이 다시 구현되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 GROUP BY
쿼리 구문을 지원했다.
SQL 쿼리를 대화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프로그램(psql)을 제공했다. 이것으로 옛날 monitor 프로그램에서 하던 작업들의 대부분을 대체하게 되었다.
Tcl 기반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libpgtcl
라이브러리를 제공했다.
pgtclsh
이라는 간단한 쉘은
Postgres95 서버를
Tcl 프로그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Tcl 명령들을 제공했다.
대형객체(large-object) 인터페이스를 전면 재검토했으며, 대형 객체 inversion은 대형 객체 저장하는 메카니즘으로만 사용되었다. (inversion 파일 시스템은 없앴음)
예제 차원의 rule 시스템을 없애고, 재작성된 rule을 사용할 수 있었다.
Postgres95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SQL 구문 소개용 간단한 자습서 코드들이 함께 배포되었다.
BSD make 대신에, GNU make를 사용했다. 또한 Postgres95 코드는 패치(doubles의 자료 정렬문제 수정된) 되지 않은 GCC로도 컴파일 될 수 있었다.
1996년이 되면서 “Postgres95” 이름을 바꾸기로 했다. 왜냐하면, 년도 이름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타당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로운 이름으로 PostgreSQL로 정했다. 모체가 된, POSTGRES와, SQL 기능이 추가되었기에 이 두 단어의 합성을 선택했다. 그리고, 버클리 POSTGRES 프로젝트의 전통을 이어받았는 것을 보존하기 위해서, 버전을 6.0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Postgres95가 버전 5.0으로 감안하기로 하고)
많은 사람들이 요즘도 관례적이거나, 발음하기 쉽다는 이유로 PostgreSQL을 “Postgres”라고 부른다 (물론 요즘은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이것은 별명 또는 별칭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ostgres95 개발에서는 서버 코드에 있는 문제점들을 찾고, 이해하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PostgreSQL에서는 더 나아가, 이것들을 수정하고, 기능을 확장하고, 호환성을 넓히는 등 모든 분야의 작업이 골고루 이루워졌다.
PostgreSQL 개발 변천사는 부록 E 문서에서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